지식교양

R&D 특구 모델 ‘강소특구’, 연구소와 대학 등 연구기관 중심 [지식용어]

시선뉴스 2019. 7. 7. 09:30

[시선뉴스 김아련 / 디자인 최지민] 지난달 19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경기 안산, 경남 김해/진주/창원, 경북 포항, 충북 청주 등 6곳을 새로운 연구개발특구 모델인 강소특구로 처음 지정했다. 이중 특히 경기 안산 강소특구는 한양대(에리카 캠퍼스)를 중심으로 ICT(정보통신기술) 융복합 부품 소재 개발에 집중하게 된다.

강소특구는 2017년 12월 발표된 새 R&D 특구 모델이다. 기존에 대전 대덕, 광주, 대구, 부산, 전북에 R&D 특구가 지정되어 있었지만 미개발 지역이 발생하고 기관 간 집적·연계 효과가 떨어진다는 한계가 있어 지방자체단체가 육성의 주체가 되어 연구를 개발하는 강소특구를 만들게 되었다.


또 기존의 특구가 공간 규정에 제한이 없었다면 강소 특구는 면적 한도를 20㎢로 정해 소규모의 특구를 도입했다. 강소특구로 지정된 곳은 연구소, 대학 등 연구기관을 중심으로 연구개발이 이루어진다. 강소특구 입주 기관은 세금감면, 기술사업화 지원 등 기존 연구개발특구와 같은 혜택을 받으며, 정부는 해마다 최소 60억원 예산을 각 특구에 나눠주게 된다.

특히 경북 포항은 포스텍(포항공대)과 포항산업과학연구원을 중심으로 첨단 신소재 개발 연구를 진행하기로 했다. 포항시는 미래전략 핵심산업으로 추진하는 바이오, 로봇, 첨단신소재, 해양자원, ICT융복합산업 육성에 탄력이 붙을 것으로 보고 있다. 특구 혜택으로 바이오오픈이노베이션센터, 식물백신기업지원시설, 지식산업센터, 기술사업화센터 등이 지역경제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에 크게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된다.

창원 강소특구는 한국전기연구원을 기술핵심기관으로 해 지능전기 기반 기계융합산업을 특화한다. 기계산업 집적지인 창원국가산단이 배후지역이어서 사업화 여건이 우수한 점이 반영됐다. 창원국가산단 확장구역 0.43㎢가 특구부지로 지정됐다. 굴뚝산업도시에서 첨단산업과 과학기술 중심 도시로 전환한다는 창원시 의지가 반영됐다.

진주 강소특구는 경상대를 기술핵심기관으로 항공우주부품 소재산업이 특화 분야다. 혁신도시클러스터 0.21㎢, 항공국가산단 0.82㎢ 등 1.03㎢가 부지로 정해졌다. 항공우주부품 기술이전, 시제품 제작, 시험·인증, 생산 등 국내 최고 항공소재산업 인프라 구축이 목표이다.


정부는 강소특구 지정으로 인해 2024년까지 약 1500여 개의 기업 유치와 약 1만 8600명 정도의 고용, 9조 3000억 원의 매출 등의 이익을 내는 경제적 파급효과를 불러일으킬 것으로 예측했다.

한편, 이번에 경남 양산도 강소특구 지정을 요청했으나 부지 마련 계획 등을 이유로 이번에는 선정되지 않았다. 다만 이런 사항을 보완하면 재협의할 수 있다는 게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입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