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선뉴스 김태웅 / 디자인 이정선] 현재 대한민국에서 동물을 키우는 인구는 1천만 명 정도로 어디서나 동물과 함께 사는 사람들을 쉽게 찾을 수 있다. 심지어 이제는 더 이상 ‘애완동물’이라고 부르지 않고 ‘반려동물’이라고 부르고 있는 상황. 이처럼 동물을 인생의 반려대상으로 여기기 시작하면서 반려동물과 관련한 산업이 급부상하고 있고 이런 현상으로 인해 ‘펫코노미(petconomy)'라는 신조어가 등장했다.
펫코노미는 애완동물(Pet)과 경제(Economy)의 합성어로 반려동물과 관련한 시장 또는 산업을 의미한다. 농림축산식품부와 산업연구원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펫코노미 시장규모는 지난 2012년 9,000억 원에서 2015년 두 배 증가한 1조 8,000억을 기록했으며, 이 추세대로라면 2020년에는 5조 8,000억 원의 규모로 성장할 것이라고 전망됐다.
사실 펫코노미의 등장은 단어 ‘1인’과 경제(Economy)의 합성어인 1코노미의 등장과 매우 관련이 깊다. 우리나라의 경우 저출산과 고령화로 인해 1인 가구가 증가하면서 혼자만의 소비생활이 늘어났다. 1인가구들은 바쁜 일상을 끝내고 집으로 돌아왔을 때 공허함을 느끼는 경우가 많다. 그 공허함은 사람과 같은 존재 때론 사람보다 더 가까운 존재가 필요하기 때문에 1인가구의 반려동물 분양사례가 급증하고 있는 것이다.
이와 관련해 최근엔 반려동물을 가족처럼 생각하는 사람들이라고 해서 ‘펫팸족(Petfam 族)’이라는 단어가 등장하기도 했다. 이는 반려동물을 키우는 이들이 반려동물을 가족 그 이상으로 생각하고 있는 것을 반증하는데, 이러한 추세 속에 1인가구의 소비가 자신을 넘어서 반려동물에게 점점 집중되면서 ‘펫코노미’가 형성된 것이다.
이러한 흐름에 국내 다양한 업계에서는 ‘펫코노미’의 등장에 발 빠르게 대응하고 있다. 반려견카페, 반려동물 전용 사료, 용품, 의료, 미용, 문양 서비스는 물론, 이젠 반려동물 장례서비스, 펫 택시, 대신 돌봐주고 교육시키는 펫 유치원, 펫 호텔 서비스까지 등장해 인기를 끌고 있다. 게다가 최근 일부 카드사에선 반려동물 특화카드를 만들어 펫코노미관련 업종이용 시 혜택을 주기도 한다.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전 세계에서 ‘펫코노미’는 이미 ‘1코노미’와 함께 하나의 사회현상으로 자리를 잡았다. 1인가구의 증가는 가족과의 유대성이 떨어지고 있다는 점에서 한편으론 다소 안타까운 현상이지만, 대부분의 고성장한 나라에서 겪고 있는 현실이기도하다. 가족보다 더 가족 같은 반려동물의 등장으로 생긴 용어 ‘펫코노미’. 펫코노미의 발전은 앞으로 우리 경제에 어떤 영향을 끼치게 될지 귀추가 주목된다.
'지식교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바웃슈퍼리치] 명품의 대중화를 시도한 천재, 베르나르 아르노 (0) | 2017.10.11 |
---|---|
[지식용어] 철원 병사의 사망 원인 도비탄과 유탄이란? (0) | 2017.10.11 |
[지식용어] 자신의 털을 뽑아 탈모를 발생시키는 충동장애 ‘발모벽’ (0) | 2017.10.09 |
[TV지식용어] 결혼의 계절 가을, 부케의 유래는? / 박진아 아나운서 (0) | 2017.10.09 |
[지식용어] 근린생활시설을 빙자한 얌체 주택 ‘근생빌라’ (0) | 2017.10.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