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포그래픽

[인포그래픽] 일요 건강정보! 현대인의 질병 ‘허리디스크’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시선뉴스 박진아 / 디자인 김민서] 나이를 먹는 다는 것. 당연한 현실임에도 쉽게 받아들이기 힘들 때가 많습니다. 특히 스스로의 의지와 달리 여러 가지 영향으로 인해 몸의 균형과 컨디션이 바뀔 때. 몸과 마음이 따로 놀기 십상입니다. 오늘의 건강정보 ‘허리디스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허리디스크의 정의 

디스크는 해부학적 명칭으로 척추 뼈 사이의 추간판을 의미한다. 이 추간판이 빠져 나와 신경을 누르며 허리 통증을 일으키는 것이 흔하게 알고 있는 허리 디스크 즉, 추간판 탈출증이다. 


▶ 디스크의 역할

척추에서 디스크는 말랑말랑한 젤리 같은 구조물로 척추 뼈 사이에서 힘을 분산시키고 뼈끼리 부딪히는 것을 막아주는 쿠션 역할을 한다. 


▶ 디스크의 원인 

추간판이 하루 종일 같은 동작을 반복하거나 무거운 물건을 드는 등 손상이 지속적으로 가해지면 디스크의 내부 물질인 수핵이 튀어나올 수 있고, 이 수핵이 주위의 신경을 압박해 통증을 유발한다. 


▶ 허리디스크의 증상

① 허리에 찌릿하는 통증이나 저리는 현상이 나타난다. 

② 다리의 양쪽 길이가 다르고 발뒤꿈치로 걷는 것이 어렵다.   


*염좌와의 차이점 : 염좌는 신경학적 이상이 있는 경우이며, 대체로 최대 4주, 평균적으로 2주 정도면 증상이 완전히 회복된다. 반면 허리디스크는 통증이 호전된다고 하더라도 다시 조금만 무리가 가해진다면 심각한 통증이나 저림이 발생한다. 


▶ 허리디스크 예방법

① 의자 깊숙이 앉아 엉덩이를 등받이에 대고 약간 기울여 앉는다. 

② 20~30분에 한 번씩 일어나 스트레칭을 한다. 

③ 서 있는 경우 한쪽 발을 낮은 발판이나 상자에 올린다. 

④ 물건은 무릎을 굽히고 편 자세로 몸에 가깝게 해 들어 올린다. 

⑤ 쿠션감이 있는 바닥에 눕고, 옆으로 눕는 자세가 좋다. 

⑥ 적절한 체중유지와 지속적인 허리 운동을 한다. 


▶ 디스크에 대한 궁금증 

Q. 젊은층에서 허리디스크 발병률이 높아지는 이유는?  

A. 오래 앉아 있는 것이 하나의 문제가 된다. 그다음 지나친 다이어트를 하게 되면 근육에 위축 현상이 오기 때문에 허리를 지탱하는 힘이 빠지게 된다. 또 목 디스크 같은 경우는 스마트폰 등 고개를 수그리고 있는 자세들. 어떤 그런 생활의 형태들, 패턴들이 많이 바뀌면서 디스크 환자들이 점점 증가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