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식교양

[TV지식용어] 인류의 이동에 큰 변화를 가져다준 기차의 역사 / 박진아 아나운서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시선뉴스 홍지수]  

 

MC MENT   

안녕하세요. TV지식용어(시사Ya)의 박진아입니다우리가 타고 이동할 수 있는 이동수단에는 자전거오토바이자동차기차비행기 정도가 있습니다그중에서도 기차를 타고 이동하는 것은 괜한 설렘의 기분까지 들게 해 한번쯤 낭만 여행의 수단으로 삼기도 하는데요철도는 언제부터 우리의 이동수단이 되게 된 것일까요유래를 같이 한 번 알아보죠.    


NA 

기차는 객차·화차를 견인(牽引)하고 궤도를 달리는 열차나 그 기관차다시 말해 증기 기관/디젤 기관/전기 기관을 동력으로 하여 운행하는 열차와 자기(磁氣)의 힘에 의해 운행하는 열차를 말합니다.

철도는 16세기 중반에 출현했던 말이 끄는 광산용 수레에서 비롯된 것이라는 의견이 있지만일각에서는 사실상 철도 기술(rail technology)이 탄생된 시기를 19세기 초로 보아야 한다고 말합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1804영국의 발명가 리처드 트레비식(Richard Trevithick)은 증기로 운행이 가능한 최초의 기관차를 선보였습니다그리고 1830년경에는 승객 운송을 목적으로 한 증기 기관차가 세계 최초로 운행되기 시작했습니다이 증기 기관차는 승객들을 태우고 잉글랜드의 리버풀에서 맨체스터까지 45킬로미터의 거리를 달렸다고 하네요당시로는 획기적인 기술 발전이었죠

그러다 1830년대철도가 미국으로 전해져서 보급되기 시작했고 19세기 중반에는 미시시피 동쪽의 모든 주에서 철도가 운행또는 건설되고 있었습니다말 그대로 19세기는 철도의 시대였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였죠.

한편 한국에 기차가 처음으로 도입된 것은 1896(고종 33)에 제물포노량진 사이에 철도가 부설되어 개통했습니다대량 수송수단인 열차가 해가 지날수록 발전을 이루고 있습니다최근에는 고속으로 많은 인원과 화물을 실어 날으기도 하고자기부상열차가 눈부신 발전을 이루고 있습니다.  

 

MC MENT   

기차 여행!하면 아무래도 유럽여행을 많이 떠올릴 수 있습니다대륙과 대륙이 모여 있어서 나라를 이동할 때 기차로 이동하는 것이 비교적 용이하기 때문입니다우리가 기차로 다른 나라를 이동하는 것이 익숙하지 않은 이유는 남과 북이 분단되어 있기 때문인데요최근에는 급변하는 남북 관계에 우리도 유럽까지 기차를 타고 여행을 가게 될 수 있을지 관심이 모이고 있습니다네 그럼 오늘 준비한 소식은 여기까지다음시간에 또 찾아오겠습니다~  

 

헤어메이크업 - 승무원아나운서 전문 메이크업 ‘바비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