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드뉴스

[카드뉴스] 과거 비누냄새를 멋쟁이 냄새라고 한 이유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시선뉴스 박진아 / 디자인 이연선, 김미양] 세수를 하거나 손을 닦을  혹은 남자들의 경우 이거 하나로 샤워를 끝내는 경우가 있습니다바로 ‘비누입니다과거만큼은 아니지만 우리 곁에는 항상 비누가 있었는데요비누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죠

비누는 때를 씻어내는데 쓰는 세정제(洗淨劑)입니다오늘날 우리가 알고 있는 형태의 비누를 알기 위해서는 기원전 2800  바빌로니아인들을 빼놓을 수가 없는데요

바빌론을 발굴할  비누와 유사한 재료를 담고 있는 진흙으로 만든 원통이 발견되면서 처음으로 비누를 만들어 사용했다고 유추하고 있습니다 원통의 측면에는 기름과 재를 끓이는 제조법이 새겨져 있다고 하네요

 가장 원시적인 형태의 비누는 잿물이라고   있는데요이는 우리나라뿐 아니라 세계 여러 나라에서 사용된 것을   있습니다

유럽에서는 짐승의 기름인 수지(獸脂) 잿물을 섞어 만들었으며중국에서는 석감(石鹼)이라고해서 잿물에 응고제인 여뀌 등의 풀즙[草汁] 밀가루를 섞어 만든 것이 쓰였습니다석감은 우리나라에서도 사용된 것으로 보이는데요비누가 널리 보급된 1930년대에도 실제로 비누를 석감이라고 불렀습니다

비누가 본격적으로 이용된 것은 조선  개국 이후부터입니다 비누는 때가  빠지고 사용이 간편할  아니라 향기가 좋고 장기간 보관할  있어서 각광을 받았습니다청일전쟁 직후에는 비누 1개의 값이 1원이나 했습니다당시  한말이 80 정도였으니굉장히 비싸다고   있죠

이와 같이 비누는 값이 비싸서 부유층 사람들만이 사용할  있었기에 비누냄새를 멋쟁이냄새라고 하기도 했다고 합니다.

사실 최근에는 비누보다 클렌징을 비롯해 각각의 용도에 맞게 만들어진 제품을  많이 이용하며서비누의 역할이 조금 떨어지고 있기도 합니다그러나 비누는 우리가 생활에서 접하게  최초의 제조 물질이라는 기억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