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선뉴스 심재민] 밥상물가가 꾸준히 상승해 가계의 큰 부담으로 다가오고 있다. 특히 명절이나 특별한 날 음식을 장만하기 위해서 수십만원은 우습게 지출해야 하는 상황. 이에 많은 가정은 밥상 물가 때문에 고민하기도, 심지어 아예 특별한 날 음식 장만을 포기하기도 한다.
이 같은 밥상물가 상승에 많은 사람들은 혹시 불필요한 거품이 끼어 있는 것은 아닐까 의혹을 제기하기도 하는데, 최근 우리 밥상에 자주 오르는 생선류에서 유통 과정의 거품이 발견되어 논란이 되고 있다.
[사진/위키미디어] |
해양수산부가 지난 19일 내놓은 ‘2017년 수산물 생산 및 유통산업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 국민이 많이 먹는 수산물인 고등어와 명태, 오징어, 갈치 4개 품목의 소비자 가격 절반 이상이 ‘유통비’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수산물 4개 품목의 소비자 가격 중 유통비 비중은 평균 51.8%. 쉽게 소비자가격이 1000원일 경우 생산자에게 돌아가는 몫은 482원, 그 외 518원은 유통 과정에서 추가된 셈이다.
‘2017년 수산물 생산 및 유통산업 실태조사’ 결과, 판매가격에서 유통비용이 차지하는 비중이 가장 높은 품목은 명태(66.3%)로 나타났다. 그리고 이어 고등어(56.7%), 오징어(45.9%), 갈치(44.7%)가 그 뒤를 이었다.
위 품목 중 유통비 거품이 가장 심한 명태를 예로 가격을 분석해보면, 명태는 포획하는 원양 선사가 가격의 33.7%를 가져가고, 유통 단계에서 산지 3.0%, 도매 15.3%, 소매 48.0%를 각각 가져가는 것으로 조사됐다. 산지에서 1kg당 1384원 하는 명태를 소비자는 유통마진 3배가 부풀려진 4108원에 사는 것. 특히 그 중 소매점에서 무려 절반이 넘는 마진을 가져가고 있는 사실이 놀라울 따름 이었다.
이러한 사실이 공개되자 여론은 ‘유통 마진이 있는 것은 당연하지만 정도가 심하다’는 반응을 보였다. 특히 명태, 고등어, 오징어, 갈치 등 일상생활에 자주 오르내리는 종류의 생선인 만큼 정부의 단호한 유통 마진 규제가 필요해 보였다.
과연 해수부의 입장은 어떨까. 해수부는 유통 과정의 후반부에 더 많은 비용이 붙는 이유에 대해 신선도 유지, 상품 손질과 포장, 매장 유지관리비 등이 추가로 반영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여전히 소비자는 쉽게 납득할 수 없다. 이에 정부는 이번 결과를 바탕으로 ‘수산물 유통혁신 로드맵(2018∼2022년)’을 만들어 올 상반기 중 발표할 계획이다. 이와 더불어 해수부는 유통 비용을 줄일 보완 대책을 발표할 방침이다.
수산물 유통발전 기본계획 등 관련 정책을 수립하기 위해 올해 처음 실시된 법정조사에서 드러난 주요 생선의 유통 마진 실태. 많은 사람들은 유통 마진이 과하다고 비판 하지만, 또 한편으로 수산물 유통업계는 “유통 단계를 줄이면 종사자들과 그의 가족들의 생계에 문제가 생긴다”라며 불만을 제기하기도 한다. 그 만큼 어려운 상황에 놓인 상황, 정부의 밥상물가를 줄이고 유통 산업의 양질의 발전을 위한 뾰족한 수가 기다려지는 시점이다.
'시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더 생산하지 말고 아끼자, 에너지에 대한 발상의 전환 ‘네가와트’ [지식용어] (0) | 2018.03.30 |
---|---|
승차거부 택시 기사 ‘삼진아웃’ 자격 취소...신고 가능한 유형은? [시선톡] (0) | 2018.03.30 |
원룸 상/하수도 요금이 1억8000만원...사건의 전말은? [시선톡] (0) | 2018.03.29 |
[어바웃슈퍼리치] 플레이스테이션의 아버지 쿠타라기 켄 (0) | 2018.03.29 |
[인터뷰360] 배우 박재민, 그가 생각하는 배우와 해설위원의 매력은? / 김지영 아나운서 (0) | 2018.03.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