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포그래픽

나라마다 다른 기준의 화장품 품질 인증마크 [인포그래픽]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시선뉴스 김아련 / 디자인 최지민]  나라마다 화장품의 성분에 따라 품질을 인증하는 기관들이 있다. 특히 동물성 성분이 들어가지 않았거나 생산과정에서 동물실험을 하지 않은 유기농 화장품이나 비건 화장품에 대한 관심이 뜨겁다. 엄격한 기준에 따라 평가하고 천연 성분임을 확인할 수 있는 나라별 화장품 품질 인증마크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알아보자.



■ FD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 미국 보건후생성(DHHS)의 산하기관으로 미국 식품의약국
→ 미국 내에서 생산되는 식품 · 의약품 · 화장품수입품 관리
→ 수입품, 일부 수출품 효능과 안전성 관리
→ 전 세계적으로 가장 엄격하고 신중한 시판승인 결정을 내리는 것으로 유명함
→ 방사선 발생기기의 유해성 여부 확인, 애완견∙가축들의 사료, 약품 조사

■ USDA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 미국 워싱턴에 있는 농업 정책을 관장하는 미국농무부의 공식 유기농 인증마크
→ 인증 조건: 합성 색소 · 향료 · 방부제 파라벤 실리콘 기타 석유제품 금지
→ 물∙소금 제외 95% 이상이 유기농 성분인 제품
→ 인증 종류: 검은색 마크(100% 유기농 원료) 초록색 마크(95% 이상 유기농 원료)

■ ECOCERT
→ 프랑스 유기농 인증기관
→ 천연 원료를 사용, 친환경적 제조, 재활용이 가능한 포장재를 사용한 제품
→ 유기농 재배 성분
→ 95% 이상 천연 성분을 함유, 5~10% 이상 유기농 성분이 들어간 제품 인증

■ EVE VEGAN
→ 프랑스 비건 인증기관
→ 동물성 성분 비포함, 유기농 제조, 동물실험을 거치지 않은 제품
→ 농경 생산 과정에서의 동물은 포함



■ BDIH
→ 독일 천연화장품 인증협회
→ 유기 합성 염료 비포함
→ 동물 실험을 하지 않은 제품
→ 원료의 채취∙생산∙제조까지 어떠한 화학 성분이 들어가지 않은 제품 인증

■ demeter
→ 유럽 유기농 조합
→ 화학비료, 합성 물질 비포함
→ 동물 실험을 하지 않으며 자연 농법으로 기른 원료로 만든 제품
→ 바이오다이나믹 농법으로 생산된 제품에만 부여하는 인증
→ 가장 높은 수준의 유기농 인증

■ VEGAN COSMETICS
→ 영국 비건 협회에서 인증하는 해바라기 마크
→ 동물 유래 성분을 전혀 포함하지 않음
→ 제조 과정에서 동물 실험을 하지 않음
→ 100% 식물성 제품

■ Biogro
→ 뉴질랜드 최대 유기농화장품 인증기관
→ 뉴질랜드의 비영리단체(NZBPCC)에서 부여하는 유기농 인증
→ 최소 95% 이상의 유기농 성분 함유
→ 유전자 조작 성분 금지
→ 성분들의 인공 합성 가공 최소화

지금까지 나라별 화장품 품질 인증마크의 종류를 알아보았다. 전 세계의 소비자들 사이에서 환경 보호와 동물 보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이를 반영한 뷰티 제품들이 많아지고 있다. 이를 인증하기 위해 각 나라의 기관들은 인증 마크를 화장품에 표시해 성분을 증명하고 있으며 소비자들은 이 인증을 보고 믿고 구매를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