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환경

[지식용어] 신재생에너지로 대체 되는 시기, 그리드 패리티 선점이 중요한 이유 [시선뉴스 김태웅/디자인 김민서] 기후 변화의 심각성은 느낀 세계 각국은 2015년 12월 파리기후협정을 체결했다. 협정의 핵심은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기 위함이고, 이로 인해 최근 신재생에너지가 각광 받고 있다. 무엇보다 기존의 에너지원을 대체하는 시기가 중요해진 지금. 어떤 나라가 더 빠르게 에너지전환에 성공할지, 세계 각국은 앞 다퉈 그리드패리티(grid parity) 선점에 나서고 있다. 그리드패리티(grid parity)란 화석연료 발전단가와 신재생에너지 발전단가가 같아지는 시기를 말한다. 블룸버그 뉴 에너지 파이낸스(BNEF)에 따르면 2012년 기준 전 세계 화석연료 사용비율은 65%다. 아직은 화석연료에 대한 의존도가 높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2040년에 들면 화석연료는 36%로 줄고 신..
[카드뉴스] 인간의 욕심과 환경문제로 조금씩 사라지고 있는 여행지들 [시선뉴스 김병용 / 디자인 이연선] 어느 날 자신이 좋아하던 여행지가 사라질 수도 있다. 무슨 소리인가 싶겠지만 이미 진행 중인 일이다. 이유는 환경오염 때문이다.지구온난화와 같은 환경문제로 인해 북극곰들의 터전이 사라지고 있다는 것은 이미 유명한 이야기이다. 그리고 환경문제는 이제 인류를 위협하고 있다. 특히 환경 문제로 인해 주거지가 없어질 위기에 처한 곳들이 늘어나고 있다.여러 가지 요인으로 인해 사라질 위기에 처한 여행지들을 알아보자.첫 번째로, 만리장성이다. 중국의 만리장성이 사라질 위기에 처했다. 풍화작용과 만리장성의 돌을 훔쳐가 되파는 사람들 때문에 성벽 길이가 30% 줄었다는 분석이 나왔다. 풍화작용과 돌을 훔쳐간 사람들의 만행 때문에 만리장성은 계속 사라지고 있다.두 번째로 이탈리아의 ..
[카드뉴스] 매년 찾아오는 녹조, 왜 생기는 것일까? [시선뉴스 문선아 선임에디터/디자인 이정선 pro] 낙동강 녹조현상이 또 발생했다. 지난달 1일 4대강 녹조 저감을 위한 대책으로 16개보 중 6개보를 상시 개방해 대응 중이지만 가뭄 등으로 녹조를 막지 못하고 있다. 매년 여름이 되면 발생하는 녹조, 도대체 왜 생기고 어떻게 해야 해결할 수 있을까?먼저 물속에 사는 작은 생물 조류(algae, 藻類)가 있다. 조류는 엽록소를 갖고 있어 햇빛과 이산화탄소를 이용해 산소와 유기물을 만들어내는 광합성 작용을 하고 물벼룩과 같은 1차 소비자의 먹이가 되어 수생태계에서 에너지를 공급한다.조류의 종류는 서식 방법과 사는 곳에 따라 나뉜다. 바다에 사는 해조류와 민물에 사는 담수조류, 서식 방법에 따라 수중의 암석이나 자갈, 인공구조물에 붙어 생활하는 조류를 부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