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유적지

[카드뉴스] 외국이 인정하고 보존하는 민족의 자존심, 해외 독립운동 유적지 [시선뉴스 이호 / 디자인 김미양] 암울했던 일제 강점기. 국가는 무력했지만 독립을 위한 민족의 열망은 강력하였다. 하지만 일제의 탄압은 너무나도 무자비하여 국내에서의 독립운동은 순탄치 않았다. 때문에 주요 독립 운동은 국내가 아닌 국외에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았는데 아직도 우리 독립 운동가들의 흔적이 해외 여러 곳에 남아있다. 독립에 대한 열망이 느껴지는 해외 유적지들을 함께 알아보자.대한민국 임시정부 (중국 상해) 우리나라 사람이 중국 상해로 여행을 간다면 반드시 들러야 할 곳 중 하나가 바로 대한민국 임시정부이다.1919년 3·1운동 이후 일본 식민 통치에 조직적으로 항거하기 위해 설립한 곳으로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근원지이다. 현재는 중국이 관리하고 있으며 김구 선생 집무실, 대한민국 임시정부 자료..
[지식용어] 일제가 옮긴 덕수궁 광명문, 80년 만에 제자리로 돌아가다 [시선뉴스 김태웅] 1938년 일제강점기 당시, 조선총독부에 의해 옮겨졌던 광명문(光明門)이 80년 만에 원래의 자리로 돌아온다. 광명문의 원래 자리는 어디인지, 덕수궁 구석으로 옮기게 된 배경은 무엇인지 살펴본다. 덕수궁의 남서쪽 구석에 홀로 서 있는 광명문. 현재는 몇몇 유적들을 전시하고 비를 맞지 않게 도와주는 일종의 야외전시관 역할을 하고 있지만, 본래 덕수궁 광명문은 왕이 드나들었던 문이었다. 덕수궁 남서쪽에 위치한 광명문 [출처_Pixabay] 덕수궁은 본래 경운궁이라고 불렸다. 1608년 조선의 15대 왕이었던 광조가 이 곳에서 즉위하면서 처음으로 경운궁이라고 명명했다. 세월이 지나 1896년 아관파천이 일어나고 1년 뒤, 러시아 공사관에 피해있던 고종이 경운궁으로 거처를 옮겨 그해 9월 대..
[지식용어] 3호 태풍 난마돌, 미크로네시아의 유적지 이름 [시선뉴스 박진아] 태풍 난마돌이 한반도로 북상하고 있습니다. 특히 이에 제주시는 제3호 태풍 ‘난마돌(NANMADOL)’에 대비한 비상체계에 돌입했다고 밝혔는데요. 이번 태풍은 3일 밤부터 제주지역에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 됩니다. 제3호 태풍 난마돌(NANMADOL)은 미크로네시아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유명한 유적지의 이름인데요. 이 유적지는 미크로네시아의 캐롤라인 제도에 속해 있는 폰페이(별명 포나페) 섬으로, 전체 면적이 335평방킬로미터밖에 되지 않는 작은 원형 섬입니다. 놀라운 것은 이 유적이 산호초 위에 건설되었다는 사실인데요. 본섬에 만들지 않고 산호초 위에 건설했다고 하는데, 그 이유는 아직도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 난 마돌(출처 - 지식백과) '태평양의 베니스'라고 불렸던 난 마돌 유적은..